본문 바로가기
시황분석

위안화 약세는 중국경제에 위협요소 중 하나. 원화에 비하면 양반.

by 미국주식전문가 2022. 8. 25.

달러와 심지어 유로화 대비로도 약세인 위안화에 대해, 중국경제에 위협이 된다는 소식. 중국은 부동산 버블이 가장 복병이지만, 여전히 무역수지 흑자를 보이면서 수출액은 사상최대를 기록 중. 
https://youtu.be/B_PqJu7c9nQ

 

위안화는 최근 중국중앙은행에서 금리를 오히려 인하하면서 달러대비 약세는 예고된 점입니다.


하지만 미 연준에 발맞춰서 금리인상을 하고 있는 원화는 달러, 심지어 금리인하를 단행한 위안화 대비 약세를 면치못하고 있는데,  한국경제는? 
현정부는 심각하지 않다고 하는데, 심각단계로 가고 있다고 봅니다. 

달러위안 (USDCNY)

 

 

국내 펀더멘탈이 IMF위기 수준과 비교가 안될정도로 탄탄하긴 하지만, 국내는 (원화대비)달러와 위안화 강세로 수출액과 이익 줄고 가계대출부담이 커지는 단계로 가고 있으니 이는 곧 위기겠죠. 
잘 넘어가면 다행이지만, 솔직히 걱정이 되긴 합니다. 

언론이 이 점에 별로 보도를 안하고 있는데, 여기저기 문제점이 많아 보입니다. 

이래서 국내증시는 현금비중을 늘리고, 올해 3월부터 투자를 한다면 달러계좌를 만들거나 미국주식 투자를 하라고 한 것입니다. 

앞으로 크고작은 문제들이 터져나올 수 있습니다. 

어쨌든, 내년까지 달러부자가 가장 배부른 부자. 

 


2022년10월4일 업데이트. 

 

그런데, 이런 위안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더 약세인 통화가 있었으나 한국 원화가 그것입니다. 

지난 8월 말보다 위안화는 원화대비, +3%나 상승한 상황. 

위안화대비 빠르게 가치하락 중인 원화
위안화대비 빠르게 가치하락 중인 원화

참고로, 지난 9월에 꾸준히 강조했듯이 달러의 초강세가 한달 동안 이어졌습니다. 

달러위안화는, +3.5%나 상승. 

 

달러대비 약세인 위안화
달러대비 약세인 위안화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기간이 길어지고 최근에는 그 폭도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대중무역수지 적자가 문제인데, 아마도 중국정부에서 수입선을 한국에서 다른 국가로 다변화 하고 있는게 아닌가 추측됩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전부터 공개적으로 반중국을 외치고, NATO에 가서 중국을 때리고 한게 악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심히 의심이 됩니다.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이렇게 무책임하게 외교를 하고 있다는 사실에 매우 우려가 됩니다. 

내년 1사분기까지는 무역적자가 해소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주 원인이기도 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세계적인 긴축분위기, 무능한 정부의 대응 등 악재가 계속 쌓이는 모양새.  

지금 원화는 G20 주요 국가들의 통화 중에서도 가장 가치가 빠르게 하락 중인 통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항상 중국관련 뉴스도 챙겨봐야겠죠. 

You searched for 중국 | TRENUE

 

You searched for 중국 | TRENUE

 

trenue.com

  

 

댓글